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유엔위원회, 대마초를 더 이상 위험한 마약으로 간주되지 않게 재분류

by 노화방지 Anti-aging Hairstyle 2021. 1. 3.
반응형

UN News

UN commission reclassifies cannabis, no longer considered risky narcotic

2 December 2020

Law and Crime Prevention

The UN Commission on Narcotic Drugs (CND) took a number of decisions on Wednesday, leading to changes in the way cannabis is internationally regulated, including its reclassification out of the most dangerous category of drugs.

UN 마약위원회 (CND)는 수요일에 여러 가지 결정을 내려서, 대마초를 가장 위험한 범주의 약물에서 제외하는 등 국제적으로 대마초를 규제하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 왔습니다.

마리화나 및 그 파생물에 대한 일련의 세계보건기구 (WHO) 권장사항을 검토하면서, CND는 1961년 마약에 대한 단일협약의 등급 IV에서 대마초를 제거하기로 결정했는데, 이 등급 IV에는 헤로인 등 치명적 중독성 오피오이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In reviewing a serie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ations on marijuana and its derivatives, the CND zeroed-in on the decision to remove cannabis from Schedule IV of the 1961 Single Convention on Narcotic Drugs — where it was listed alongside deadly, addictive opioids, including heroin.

CND 53개 회원국은 가장 엄격한 통제 등급에서 대마초를 제거하기로 결정했는데,

이 등급에서는 대마초를 의료 목적으로도 사용하지 못하게 했었습니다.

The CND’s 53 Member States voted to removed cannabis – where it had been placed for 59 years – from the strictest control schedules, that even discouraged its use for medical purposes.

CND는 찬성 27표, 반대 25표, 기권 1표로, 일반적으로 의약 및 치료 잠재력이 인정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불법인 기분전환용 약물인 대마초를 인정할 수 있는 문을 열었습니다.

With an historic vote of 27 in favour, 25 against, and one abstention, the CND has opened the door to recognizing the medicinal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the commonly-used but still largely illegal recreational drug.

더욱이 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결정으로 대마초 식물의 오래 전부터 내려온 약재 특성에 대한 추가 과학적 연구를 유도하고, 각국이 약용으로 약을 합법화하고, 레크리에이션 사용에 관한 법률을 재고하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Moreover, according to news reports, the decision could also drive additional scientific research into the plant’s long-heralded medicinal properties and act as catalyst for countries to legalize the drug for medicinal use, and reconsider laws on its recreational use.

오랜 기다림 Long wait

Back in January 2019, WHO unveiled six WHO recommendations surrounding the scheduling of cannabis in UN drug control treaties.

2019년 1월, WHO는 UN 마약통제조약에서 대마초 등급을 정하는 6가지 WHO 권장사항을 발표했습니다.

이 제안은 원래 CND의 2019년 3월 세션에서 투표될 예정이었지만, 보도에 따르면 많은 국가에서 지지를 연구하고 입장을 정의할 시간을 더 요청했습니다.

While the proposals were originally set to be voted on during the  CND’s March 2019 session, many countries had requested more time to study the endorsements and define their positions, according to news reports.

https://amzn.to/2VyYPL0

Instant Relief Hemp Cream - jojoba, MSM & Arnica - Relieves Inflammation, Muscle, Joint, Back, Knee, Nerves & Arthritis - Made in USA

Instant Relief Hemp Cream - jojoba, MSM & Arnica - Relieves Inflammation, Muscle, Joint, Back, Knee, Nerves & Arthritis - Made in USA

amzn.to

WHO의 여러 요점 중 무독성 화합물인 CBD (Cannabidiol)는 국제 규제 대상이 아님을 명확히 했습니다.

Among WHO’s many points, it clarified that cannabidiol (CBD) – a non-intoxicating compound – is not subject to international controls.

CBD는 최근 몇 년 동안 웰빙 요법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수행했으며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산업을 촉발했습니다.

CBD has taken on a prominent role in wellness therapies in recent years, and sparked a billion-dollar industry.

현재 50개 이상 국가에서 약용 대마초 프로그램을 채택했으며, 캐나다, 우루과이 및 미국 15개 주에서 레크리에이션 사용을 합법화했으며, 멕시코와 룩셈부르크가 세 번째 및 네 번째 레크리에이션 사용 합법화 국가가 되었습니다.

Currently, more than 50 countries have adopted medicinal cannabis programmes while Canada, Uruguay and 15 US states have legalized its recreational use, with Mexico and Luxembourg close to becoming the third and fourth countries to do so.  

Where they stand

After voting, some countries made statements on their stances.

투표 후 일부 국가는 입장에 대해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건강전문 mall

www.cantox.kr

Heath Mall

CBD 리포솜 글루타티온 전문

www.cantox.kr

Ecuador supported all of WHO’s recommendations and urged that cannabis production, sale and use, have “a regulatory framework that guarantees good practices, quality, innovation and research development”.

에콰도르는 WHO의 모든 권장사항을 지지하고, 대마초 생산, 판매, 사용에 '우수 사례, 품질, 혁신 및 연구개발을 보장하는 규제 프레임워크'를 갖출 것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미국은 단일조약의 등급 IV에서 대마초를 제거하고 등급 I에 유지하는데 찬성하였는데,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마초 치료제가 개발되어 대마초 자체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과학에 찬성하지만, 대마초가 공중 보건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 약물 통제조약에 따라 계속 통제되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Meanwhile, the United States voted to remove cannabis from Schedule IV of the Single Convention while retaining them in Schedule I, saying it is “consistent with the science demonstrating that while a safe and effective cannabis-derived therapeutic has been developed, cannabis itself continues to pose significant risks to public health and should continue to be controlled under the international drug control conventions”.

반대 투표한 칠레는, '대마초 사용과 우울증, 인지결핍, 불안, 정신병적 증상 등으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증가하는 직접 관계가 있다'고 주장했으며, 일본은 비의료적 사용이 식물의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 부정적 건강과 사회적 영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Voting against, Chile argued, among other things,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cannabis and increased chances of suffering from depression, cognitive deficit, anxiety, psychotic symptoms, among others” while Japan stated that the non-medical use of the plant “might give rise to negative health and social impacts, especially among youth”.

반응형

댓글